G20·파리포럼 재무장관 컨퍼런스서 주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기재부 제공

[공감신문] 염보라 기자="지금과 같은 미증유의 위기 시에는 당면한 위기극복은 물론, 코로나 이후 발생 가능한 새로운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보다 촘촘하고 강력한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이 필요합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오후 9시부터 영상으로 개최된 'G20·파리포럼 재무장관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자로 참석, " 글로벌 금융안전망은 위기 시 유동성 문제를 겪는 개도국을 지원해 위기의 전이를 막는 강력한 수단"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홍 부총리는 "G20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보호무역주의 동결(Standstill)을 주도하는 등 글로벌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다"고 전제한 뒤 "(현재)코로나19의 2차 파고 도래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G20의 정책공조는 더욱 견고해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첫 번째로 촘촘하고 강력한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을 주문했다.

그는 "그간 G20과 IMF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금융안전망 논의를 지속해 왔고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G20은 이번 코로나 대응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현 안전망의 효과성과 미비점을 면밀히 분석해 더욱 발전된 안전장치 마련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두 번째로는 "위기대응 조치인 금융안전망 구축과 함께, 개별 국가별차원에서도 평소 자본흐름의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는 예방 수단의 구비와 충분한 대응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특히 "각국의 자본시장 상황 등 정책여건을 충분히 고려해 'One-size-fits-all(널리 적용되도록 만든)'이 아닌 맞춤형 접근에 따라 디테일하게 설계해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한국의 거시건전성 3종 세트(선물환포지션 제도, 외환건전성 부담금, 외화 유동성커버리지 비율 규제) 도입을 그 예로 들었다.  

그는 "거시건전성 유지를 위한 이러한 노력이 자본시장의 체질을 강화하여 이번 코로나19 위기를 비교적 원만하게 극복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됐다"며 "이와 관련해 현재 IMF가 추진중인 IPF(Integrated Policy Framework)는 국가별 특수성을 반영한 최적의 정책조합을 모색함으로써 훌륭한 정책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는 자본흐름의 변동성 완화를 위한 제도 설계, 인프라 구축 등을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비록 자본시장 육성이 시간이 걸리는 과제이지만,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일상화돼 위기 발생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시기에는 자본시장 육성과 같이 선제적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대비하는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시장조성을 위한 개도국 정부의 의지와 함께, G20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발전경험과 시행착오 공유, 개도국 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기술지원이 접목된다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G20·파리포럼 재무장관 컨퍼런스는 G20 의장국 사우디와 파리클럽 의장국 프랑스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다.

올해는 코로나 19 대응 논의를 위해 장관급 행사로 격상해 개초됐으며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 앤드류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앙헬 구리아 OECD 총재, 어거스틴 카스텐스 BIS 총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코로나 19 이후, 자본흐름 회복 및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재원조달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홍 부총리는 G20 국제금융체제 워킹그룹 공동의장을 함께 수임 중인 프랑스의 적극적인 요청에 따라 기조발언에 나서게 됐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