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적 비판에 대한 경계 의견도

▲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이 4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김상택 SGI서울보증보험 사장의 연임과 낙하산 인사를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을 하고 있다./염보라 기자
▲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이 4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김상택 SGI서울보증보험 사장의 연임과 낙하산 인사를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을 하고 있다./염보라 기자

[공감신문]염보라 기자=금융권이 단체장 인선을 놓고 '관피아(관료+모피아)' '정피아(정치+모피아)' 논란으로 시끄럽다. 

손해보험협회와 SGI서울보증보험이 노조와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정면돌파'를 선택한 가운데, 현재 회장 선임 작업을 진행 중인 전국은행연합회와 생명보험협회, 한국거래소가 어떤 인물을 최고경영자(CEO)로 내세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생명보험협회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첫 회의를 열어 여승주 한화생명 사장을 위원장으로 선출하고 일정 등을 논의했다. 추천위는 오는 26일 2차 회의를 열고 본격적으로 후보들을 논의할 계획이다.

 

내달 8일 임기 만료되는 신용길 현 회장은 이미 연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상태다. 당초 신 회장과 함께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과 진웅섭 전 금융감독원장 역시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피아 논란을 의식한 결정이라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남은 유력 후보는 한나라당·새누리당 소속으로 3선을 지낸 정희수 보험연수원장이다. 이중 정 원장은 관피아 논란에서는 자유롭지만 정치인 출신으로 엄연히 따지면 민간 출신 인사는 아니다. 업계에서 "관피아가 개혁 대상이 되자 정피아가 기웃거린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은행연합회의 경우 전날 2차 회추위를 열어 7명의 롱리스트를 확정했다. 당초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과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등 관료 출신 인사가 유력 후보로 거론됐으나, 이들 모두 회장직을 고사하면서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 민병덕 전 KB국민은행장,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이대훈 전 농협은행장 등 민간 금융권 인사들이 대거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관료 출신 민간 금융권 인사인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도 롱리스트에 포함됐다. 정치인 출신인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도 후보군에 뽑혔다. 민간vs관피아 출신 민간vs정피아의 대결인 셈이다. 회추위는 내주 중 3차 회의를 열고 단수의 최종 후보자를 선출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20일 오후 6시까지 이사장 공개모집 지원서를 접수 받는다.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오는 23일께 회의를 열어 서류심사를 진행하고 이후 면접심사를 거쳐 차기 이사장 후보를 추천할 예정이다. 거래소 측은 내달 중 이사장 선임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후보는 은행연합회장 롱리스트에 오른 민 전 정무위원장을 비롯해 손병두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정은보 방위비 분담금 협상 대사(전 금융위 부위원장 겸 증선위원장) 등이다.

이들 중 최종 후보가 나올 경우 노조와의 갈등이 예상된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 한국거래소지부는 일찍이 "금융위 출신 또는 퇴물 정치인의 내정을 철회하라"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거래소는 지난 2017년 정지원 전 이사장을 선임하는 과정에서도 노조의 반발에 부딪힌 바 있다.

 

앞서 손해보험협회는 정지원 전 거래소 이사장을 차기 회장으로 선출했다. SGI서울보증보험은 유광열 전 금감원 수석부원장을 대표이사로 내정했다. 두 인사 모두 관료 출신이다. 낙하산 선임을 반대하는 금융소비자연맹과 유 전 수석부원장의 행보를 공개 비판하고 나선 금융감독원·서울보증 노조의 맹공에 정면돌파를 선택한 것이다.

한편 관피아·정피아 단체장을 원하는 쪽과 이들을 개혁 대상으로 바라보는 쪽이 팽팽하게 맞서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분법적 사고로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는 제언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관피아·정피아에 부정적이 인식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들의 힘이 필요한 상황도 분명 있다"면서 "지금은 출신을 떠나 업계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정부와 당국을 상대로 업계의 의견을 관철할 수 있는, 업계 발전을 위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인지를 평가하고 따져보는 작업을 우선시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