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 하반기 잔여지분 매각 시작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공감신문] 염보라 기자=잠시 멈췄던 우리금융의 '완전 민영화' 시계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정부가 올해 하반기 중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작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2022년 내 지분 전량 매각 방침도 다시 확인했다.

우리금융은 정부가 '우호적인 매각 여건 조성'을 전제한 만큼, 주가 회복에 더욱 힘쓴다는 방침이다.

2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전날 제160차 공자위·매각소위원회 합동 간담회를 열어 하반기 내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의 첫 발을 떼기로 결정했다.

위원들은 앞서 마련한 우리금융 지분 매각 로드맵을 유지하고 하반기에 우호적인 매각 여건이 조성되면 매각 작업을 개시할 수 있도록 시장 상황을 주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공자위는 지난해 6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 중인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6월 현재 17.25%)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전량 매각한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하지만 당시 약 1만4000원이던 우리금융 주가가 올해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1만원 아래로 떨어지면서 정부가 매각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공적자금 회수를 위한 적정 주가는 1만2300원가량으로 알려졌다. 반면 22일 우리금융의 종가는 9190원에 그친다.

우리금융은 손태승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의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 부양에 나서고 있다. 

손 회장은 취임 이후 8회에 걸쳐 5000주씩, 총 4만주의 자사주를 매입한 상태다. 부장금 이하 직원들에 대해서는 매월 15만원 한도로 지원금을 줘 자사주 매입을 독려하고 있다.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기업설명회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코로나 이전에는 대면 IR(기업설명)을 진행했다면, 코로나 이후에는 국내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컨퍼런스콜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리금융은 1899년 1월 민족자본으로 창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은행으로, 대한천일은행(1899년)·조선상업은행(1911년)·한국상업은행(1950년)·한빛은행(1997년) 등 이름을 거쳐 2020년 지금의 '우리은행' 이름을 얻었다.

공적자금이 투입되면서 정부 소유 은행이 된 건 IMF 여파로 힘들었던 1998년이다. 정부는 지속적인 지분매각을 통해 공적자금을 회수, 우리금융의 민영화를 진행해 왔다. 현재까지 회수한 공적자금은 전체 12조8000억원 가운데 11조1000억원 규모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