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정무장관 신설검토 지시...야당과 협치 이룰 정무장관 필요

[공감신문] 박진종 기자=정무장관직 신설 검토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달 28일 청와대 회동에서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특임장관 시절 정부 입법 통과율이 4배로 올라갔다”며 정무장관직 신설을 제안했다. 이에 문 대통령도 호응해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장관직 신설 검토를 지시했다.  

문 대통령의 즉각적인 검토 지시에 정치권에서도 정무장관 적임자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정무장관은 고유 업무를 부여받지 않고, 대통령 또는 대통령 명을 받은 국무총리가 지정하는 업무를 맡는다. 주로 정치권 소통업무를 담당한다.

제21대 국회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177석을 차지했고, 다수가 친문(친문재인) 성향의 국회의원이다. 문재인 정부와 여당의 소통은 문제가 없다. 

이런 배경에 정부는 통합당과의 소통이 더 중요해졌다. 여당 원내대표가 아닌 야당 원내대표가 정무장관직 신설을 제안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역대 정무장관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정권의 실세였다. 박철언 전 의원, 김덕룡 전 의원, 이재오 전 의원 등이 정무장관을 지냈다.

하지만 21대 국회에서는 ‘실세형’정무장관이 신설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나온다. 야당 원내대표가 먼저 제안한 만큼, 이번 정무장관은 야당과 협치를 이룰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정무장관을 실세형 인사가 맡을 경우 청와대의 정무라인과 업무가 중복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편으로는, 오히려 실세형 인사가 정무장관을 맡아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실세형 인사가 대통령의 의중을 야당에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왼쪽부터 원혜영 전 의원, 김성곤 전 의원,  최재성 전 의원,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

문재인 정부 첫 정무장관 후보로는 최재성 전 의원이 거론된다. 최 전 의원은 실세형 인사에 가깝다. 

민주당 내에서는 대통령과 여당의 의중을 가장 잘 파악하고, 협상을 조율하는 역할에는 최 전 의원이 적합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최 전 의원은 4.15 총선 이후 잠행을 이어가는 중이다.

현 청와대 청와대 정무수석인 강기정 수석도 정무장관 후보 중 한명이다. 강 수석이 정무장관을 맡은 경우, 정무라인과의 혼선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이다. 또한, 지금까지 정무수석 경험이 정무장관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5선 출신의 원혜영 전 의원과 4선 출신의 김성곤 전 의원도 정무장관 후보로 꼽힌다. 원 전 의원과 김 전 의원은 ‘협치형’후보로 분류된다.

원 전 의원은 21대 총선에 불출마했다. 김 전 의원은 강남 험지에서 낙선했지만, 여당 중진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원 전 의원과 김 전 의원 모두 합리적 중도인사 이미지가 강하다. 특정 계파에 얽매이지 않고, 두루 관계가 좋다는 평이다. 특히, 현역 의원시절 야당 의원들과도 관계가 좋았다. 

실세형이든 협치형이든 야당과 적극 소통하고, 협치를 이룰 정무장관이 필요하다. 정무장관이 신설되면 21대 국회 전반기와 문재인 정부 하반기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중요도가 높은 만큼, 야당에서도 인정할 만한 합리적인 인물이 맡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